사람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
사람의 행동을 지배하고 사람의 존재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
우리가 인간적이라고 여기는 것의 핵심.
무엇에 관한 설명일까??
바로 감정이다.
우리가 매일 느끼는 감정들은 우리가 자신을 어떤 사람인가를 알아가게 된다.
사람을 구성하는 요소 그리고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요소중 하나인 '감정'이다.
분노, 공포, 슬픔, 혐오, 놀람 등은 자극을 동반하는 감정이다. 그리고 우리 몸안에 내재되어 행동에 영향을 준다.
"인간의 행동은 욕망, 감정, 지식에서 나온다."
-플라톤 그리스 철학자-
그러면 '기억'은 무엇일까?
머릿속에서 경험했을때의 감정 혹은 대뇌피질의 자극을 그대로 재현하면서 머리속에서 재발화,
즉 다시 한번 머릿속에 세기는 것을 말한다.
그러면 기억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지 알아보자
1. 주의
뉴런들은 활성화되어 뇌가 산만해지는 것을 막는 것을 말한다.
주의를 집중하며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자 하는 곳에 모든 에너지를 쏟는 것이다.
2. 감정과 감각
감정: 감정도 자극으로 인하여 몸속에서 생겨나며 감각과 함께 머릿속에서 다시 각인되어
패턴화 되어진다.
감각: 자극의 대부분은 경험에 의해 만들어지며 감각 자극의 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기억으로
전환되어 다시 재현될 확률이 높아진다.
3. 작업기억
단기 기억은 정보를 사용할 때 저장된다. 하지만 단기 기억이므로 아주 잠시 형성되었다가 곧 사라지는 단기 기억을 말하며 단기 기억도 지속적인 반복을 통하면 장기기억으로 이전되어질 수 있다. 기억을 관장하는 해마와 대뇌피질에서의 자극이 서로 반복되어 장기기억으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본능
본능(本能) : 선천적으로 하게 되어 있는 동작이나 운동을 말한다. 마치 누군가가 우리 기억 저 밑바닥에 최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입력해 놓은 것처럼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사람은 누구나 본능이 있지만 때와 장소에 따라서 본능을 억제할 때도 있다. 사회를 형성하고 가치관과 윤리 등이 작용하면서 본능은 의식의 밑바닥에 항상 몸을 웅크리고 있다.
때로는 우리의 행동과 감정은 되풀이되어 나타난다. 우리가 삶아가는 모습이나 시간은 계속 변하는데 사람의 본능은 늘 같은 패턴으로 우리를 통제한다고도 볼 수 있다. 바람직하지 못한 습관을 바꿀 수 없는 것을 그러하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습관적 음주를 한다던지, 단 음식에 대한 절제력이 낮은것이 그러한 예들일 것이다. 본능적으로 표출된 행동은 이미 굳어져 고쳐지기 힘든 이유가 그러하다.
1. 생존본능은 이성 그리고 자유의지 윤리의식을 넘어선다.
선택의 문제에서는 본능은 이성을 초월하고, 본능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왜 그런 행동을 하였냐고 물으면 이유는 없다고 한다. 꼭 이유를 들으려고 계속 물어도 결국 비논리적인 대답을 얻어낼 뿐이다. 대다수는 모르겠다는 대답을 한다. 하지만 우리 몸 그리고 무의식은 그 답을 이미 알고 있다는 것이다.
2. 본능은 주의를 조작해 생존한다.
본능은 늘 살아남기 위해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생존에 적합한 것을 찾아낸다. 지나치게 종교나 도박 등 특정 활동에 집중하다 보면 자신의 일이라든지 경제활동을 방치하게 되는 것이 그러하다.
잘못된 습관은 고치기 힘들다면 외부 자극에 반응해 자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오늘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 주는 요소에 대해 이야기해보았다. 기억도 감정도 본능도 결국 우리가 살아가면서 우리 안에 존재하는 나의 모습들의 조각이다. 그리고 때로는 그 모습에 변화를 주기 위해 노력한다. 기억과 감정 그리고 본능은 모두 우리 뇌 속에 있는 어떤 체계인지는 앞으로 더 연구되어 우리 삶이 조금 더 풍요롭게 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스완-에세이(소근소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러스 사고를 하게 되면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0) | 2021.03.28 |
---|---|
흑백사진으로 시작되는 기억들...... (0) | 2021.03.27 |
타고난 능력, 그리고 경험을 통한 인간 너와 다른 나를 찾아서...... (0) | 2021.03.25 |
오디세우스의 모험이야기... (0) | 2021.03.24 |
스웨덴의 작은 스타트업 'spotify'스포티파이 (0) | 2021.03.23 |
댓글